반응형

IT

네트워크는 IT 분야의 근간이 되는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웹 서비스나 모바일 앱의 성능을 최적화할 때, 그리고 네트워크 관리나 성능 측정 시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로는 처리량(Throughput), 트래픽(Traffic), 대역폭(Bandwidth), RTT(Round Trip Time)가 있습니다.1. 네트워크(Network)의 정의와 구성네트워크란?두 개 이상의 장비(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 등)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환경을 뜻합니다.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노드(Node):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예: 컴퓨터, 스마트폰, 라우터, 스위치 등링크(Link): 노드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또는 무선 통로프로토콜(Protocol): 데이터 통신을 위한 공통 규칙..
Spring MVC 패턴Spring MVC 패턴 정의Spring MVC는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아키텍처로, 전통적인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과 응답 사이의 흐름을 명확히 분리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Spring MVC 패턴 구성요소DispatcherServletSpring MVC의 프론트 컨트롤러입니다.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 적절한 컨트롤러로 전달합니다.Controller (@Controller)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Model과 상호작용한 후, 뷰 이름을 반환합니다. 이 뷰 이름을 바탕으로 어떤 뷰를 렌더링할지 결정합니다..
옵저버 패턴 정의옵저버 패턴은 어떤 객체의 상태 변화가 있을 때, 이와 의존 관계에 있는 다른 객체들에게 자동으로 알림을 전달하여, 그 객체들이 적절히 반응하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주로 1대다(One-to-Many) 의존 관계를 구현할 때 사용되며, 객체 간의 결합도를 최소화하면서도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옵저버 패턴 구성 요소Subject (관찰 대상 객체): 상태를 가지며 옵저버들을 등록, 제거, 알림을 관리합니다.Observer (관찰자 객체): Subject의 상태 변화에 반응하여 자신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행동을 수행합니다.ConcreteSubject: 실제 데이터나 상태를 보유한 구체적인 Subject 클래스입니다.ConcreteObserver: 실제 동작을 수행하는 옵저버 클..
이터레이터 패턴 개념이터레이터 패턴(Iterator Pattern)은 리스트, 배열과 같은 컬렉션 내부의 요소를 쉽게 순회(반복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이 패턴을 사용하면 컬렉션의 내부 구조를 모르더라도 편리하게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이터레이터 패턴 특징 및 원리컬렉션 내부 구조와 상관없이 반복자(Iterator)라는 별도의 객체가 요소를 하나씩 순서대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Iterator 객체는 주로 두 가지 메서드(hasNext, next)를 제공하여 컬렉션의 요소를 하나씩 가져옵니다.컬렉션 내부 구조 변경이 클라이언트에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이터레이터 패턴 장점컬렉션 내부 구조를 숨기고 반복 작업을 단순화하여 캡슐화를 강화합니다.클래스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히..
팩토리 패턴 개념팩토리 패턴(Factory Pattern)은 객체의 생성 과정을 추상화하고 캡슐화하여, 클라이언트가 구체적인 클래스의 구현을 알지 못해도 객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생성 디자인 패턴입니다. 즉, 실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숨기고, 객체 생성 요청을 받은 팩토리 클래스가 적절한 객체를 만들어 반환하는 방식입니다.팩토리 패턴 특징 및 동작 원리객체 생성과 관련된 로직을 별도의 팩토리 클래스에서 처리하여, 클라이언트는 객체 생성 방법을 몰라도 됩니다.팩토리는 인터페이스를 반환하고, 클라이언트는 실제 구현 클래스를 직접 알지 않고 인터페이스만을 다룹니다.객체 생성 과정을 캡슐화하기 때문에 객체 생성과 사용을 분리해 시스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크게 높입니다.팩토리 패턴 장점새로운 객체 타..
·CS 공부일지
1. 라이브러리(Library)란? 라이브러리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가 미리 구현되어 있고, 필요할 때 개발자가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화된 코드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라이브러리는 개발자가 특정 기능을 구현할 때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수학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개발자가 직접 복잡한 계산을 매번 작성하지 않고,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계산 함수를 가져와 사용하면 됩니다.라이브러리의 특징개발자 주도 제어개발자가 필요한 시점에 특정 기능을 호출합니다.코드의 흐름은 전적으로 개발자가 결정합니다.높은 자유도프로그램의 구조나 흐름에 제약을 거의 주지 않습니다.필요한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기능 중심적특정 목적이나 기능 단위로 분리되어 있습..
반응형
mint10
'IT'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