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의 개념과 특징
유선 LAN의 개념
LAN(Local Area Network)은 동일 건물, 사무실, 학교 등 제한된 물리적 공간 내에서 컴퓨터와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입니다.
그 중에서도 유선 LAN은 물리적인 케이블(예: UTP, STP)을 이용해 장치들을 연결합니다.
유선 LAN의 특징
- 안정적인 통신 품질
- 낮은 지연 시간(Latency)
-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 (1Gbps ~ 10Gbps 이상)
- 무선 간섭 없음
- 구축 비용이 무선보다 상대적으로 낮지만, 이동성과 유연성은 떨어짐
실무 예시
- 사무실, 기업 내부 네트워크, 서버실, 학교 네트워크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전이중화 통신(Full-Duplex Communication)의 개념과 필요성
전이중화 통신의 개념
전이중화 통신이란 양방향 통신이 동시에 가능한 방식입니다.
즉, A → B, B → A 방향의 데이터 전송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대비되는 개념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통신 방식 | 설명 |
단방향(Simplex) | 한 방향으로만 통신 가능 (예: 방송) |
반이중(Half-Duplex) | 양방향 가능하지만 동시에 불가능 (예: 무전기) |
전이중(Full-Duplex) | 양방향 동시 통신 가능 (예: 전화, 유선 LAN) |
전이중화가 중요한 이유
- 데이터 전송 지연 감소
- 충돌(Collision) 회피 가능
- CSMA/CD 불필요 (중요 포인트)
실무 예시
- 대부분의 현대 이더넷 장비(스위치, NIC)는 전이중 모드 지원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고속 동시 통신에 필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개념과 동작 원리
CSMA/CD의 개념
CSMA/CD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충돌을 감지하고 처리하는 통신 방식입니다.
특히 이더넷의 초기 형태 (공유 버스 구조)에서 사용되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반이중 통신)에서만 필요합니다.
동작 방식 요약
- Carrier Sense: 전송 전, 채널이 비어 있는지 확인
- Multiple Access: 여러 장치가 채널을 공유
- Collision Detection: 충돌 발생 시, 신호 감지
- 백오프(Backoff): 충돌 발생 시 랜덤 시간 후 재전송 시도
현재 CSMA/CD는 사용되나요?
- X: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이유: 스위치 기반 전이중 네트워크에서는 충돌 자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무 예시
- 예전의 허브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충돌이 흔했기 때문에 CSMA/CD가 필수
- 현재는 스위치 기반 전이중 이더넷으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실상 사라진 기술
유선 LAN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종류 및 특징
1.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 가장 일반적인 LAN 케이블
- 전기적 간섭을 줄이기 위해 2가닥씩 꼬아 놓음
-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쉬움
종류 | 최대 속도 | 최대 길이 | 용도 |
Cat5e | 최대 1Gbps | 약 100m | 일반 사무실 |
Cat6 | 최대 10Gbps | 약 55m~100m | 고속 네트워크 |
Cat6a | 최대 10Gbps | 100m 완벽 지원 | 서버실 등 |
Cat7 | 최대 10Gbps~ | 차폐 기능 강화 | 노이즈 많은 환경 |
2. STP(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 차폐(Sheilding) 처리가 되어 있어 전자파 간섭에 강함
- 설치가 까다롭고 가격이 비쌈
- 고주파 간섭이 있는 산업 환경, 병원, 공장 등에서 사용
3. 광케이블 (Fiber Optic Cable)
- 전기가 아닌 빛으로 데이터를 전송
- 최고의 속도와 거리 지원 (수십 km 이상)
- 서버 간 연결, 통신사 백본망 등에서 사용
구분 | 싱글모드 | 멀티모드 |
전송거리 | 수십 km | 수백 m |
가격 | 비쌈 | 상대적으로 저렴 |
용도 | 통신 백본 | 데이터센터 내부 연결 |
실무 및 면접 대비 요약 정리
항목 | 설 |
유선 LAN | 물리적 케이블로 연결된 고속 네트워크, 안정성 높음 |
전이중 통신 | 송수신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방식, 충돌 없음 |
CSMA/CD | 반이중 환경에서 충돌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방식 (현재는 잘 안 씀) |
LAN 케이블 | UTP(Cat5e~Cat7), STP, 광케이블 등 상황에 따라 선택 |
반응형
'CS 공부일지 > 네트워크 공부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T API란? 개념부터 설계, 실무 적용, 면접 준비까지 (0) | 2025.04.15 |
---|---|
무선 LAN의 핵심 개념: 반이중 통신, CSMA/CA, 주파수 대역 완전 정리 (0) | 2025.04.15 |
OSI 7계층별 네트워크 장치의 개념 및 실무 사용법 총정리 (0) | 2025.04.14 |
개발자를 위한 HTTP 메서드 완벽 정리(GET, POST, PUT, PATCH 상세 비교) (0) | 2025.04.14 |
HTTP 상태 코드의 모든 것: 개발자를 위한 실무 가이드 및 면접 대비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