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란, 컴퓨터 및 네트워크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적 형태를 의미합니다. 네트워크의 성능, 안정성, 유지보수성은 선택된 토폴로지 형태에 따라 큰 영향을 받습니다. 실무 환경에서는 주어진 환경과 목적에 따라 적합한 토폴로지를 선택하여 네트워크를 설계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대표적인 네 가지 토폴로지 형태인 버스(Bus), 스타(Star), 트리(Tree), 링(Ring) 토폴로지를 각각 개념부터 실무 사례, 장단점, 면접 대비 요점까지 아주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버스 토폴로지(Bus Topology)
버스 토폴로지는 하나의 공통된 통신 회선(백본, Backbone)에 여러 컴퓨터와 장치가 일렬로 연결된 형태의 토폴로지입니다.
상세한 구조 및 특징
- 모든 노드(컴퓨터, 네트워크 장비)가 단일 공유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 데이터는 버스를 따라 흐르며, 모든 노드는 신호를 받을 수 있지만 목적지 주소와 일치할 경우에만 데이터를 수신합니다.
- 각 노드의 양 끝단에는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존재하여 신호의 반사를 방지합니다.
실무 예시
- 과거 초창기 이더넷(Legacy Ethernet, 10Base2 또는 10Base5) 환경에서 버스 토폴로지가 사용되었습니다.
- 작은 규모의 임시 네트워크(실험실, 소규모 테스트 환경 등)에서 간단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장점
- 구축이 간단하여 설치가 쉽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 노드를 추가하거나 제거하기 쉽습니다.
단점
- 장애 파급 효과가 큽니다. 주 케이블(백본)이 끊어지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됩니다.
- 트래픽이 많아지면 데이터 충돌(Collision)이 발생하여 네트워크 성능이 크게 저하됩니다.
- 네트워크 관리와 문제점 진단이 어렵습니다.
Q & A
- Q: "버스 토폴로지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어떤 문제가 있나요?"
- A: 주 전송 매체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되는 심각한 단점이 있습니다.
2.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스타 토폴로지는 중앙의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허브 등)에 각각의 노드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의 토폴로지입니다.
상세한 구조 및 특징
- 모든 노드는 중앙의 네트워크 장비와 1:1 연결로 구성됩니다.
- 데이터 통신은 반드시 중앙 장비를 거쳐 이루어집니다.
- 현대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폴로지입니다.
실무 예시
- 대부분의 회사나 기관 내부 네트워크(LAN)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태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든 컴퓨터와 프린터, 서버 등을 연결합니다.
- 가정이나 학교 등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무선 공유기(AP)를 중심으로 무선 단말기들이 연결되는 형태로 사용됩니다.
장점
- 중앙 집중식 구조로 인해 장애 발생 지점 탐지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특정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해당 노드만 영향을 받고 나머지 네트워크는 정상 작동합니다.
- 노드 추가 및 제거가 매우 쉽습니다.
단점
- 중앙 네트워크 장비가 고장 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됩니다. 즉, 중앙 장비에 대한 의존성이 높습니다.
- 각 노드마다 개별 케이블이 필요하므로 비용과 복잡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Q & A
- Q: "스타 토폴로지에서 중앙 스위치가 고장 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나요?"
- A: 중앙 스위치가 장애를 일으키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됩니다. 따라서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구조가 중요합니다.
3. 트리 토폴로지(Tree Topology)
트리 토폴로지는 계층적 구조로, 스타 토폴로지를 여러 층으로 확장한 형태입니다. 중앙의 루트(Root) 노드를 기준으로 하위 노드들이 나뭇가지 형태로 확장됩니다.
상세한 구조 및 특징
- 중앙 루트 노드에서 여러 스타형 네트워크로 분기되는 계층 구조를 가집니다.
- 주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관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 중앙과 하위 노드 간의 계층적 관리와 확장이 용이한 형태입니다.
실무 예시
- 캠퍼스 네트워크 또는 대기업 사내 네트워크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본사(중앙 노드)를 중심으로 각 지역 본부(하위 중앙 노드)가 존재하고, 각 지역 본부는 다시 개별 지점(하위 노드)을 연결하는 형태로 네트워크가 구성됩니다.
장점
- 확장성이 뛰어나서 대규모 네트워크 구축 시 매우 효과적입니다.
-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하위 네트워크만 영향을 받아 장애의 영향 범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조직이나 관리 목적에 따라 네트워크를 쉽게 나누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중앙 상위 노드(루트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면 하위 네트워크 전체가 영향을 받습니다.
- 구조가 복잡해질 경우 설계 및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Q & A
- Q: "트리 토폴로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A: 관리의 용이성, 높은 확장성 때문입니다. 계층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관리와 장애 영역 제한이 가능합니다.
4.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
링 토폴로지는 모든 노드가 원형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각 노드가 양 옆 노드와 연결되는 형태입니다.
상세한 구조 및 특징
- 모든 노드는 고리 형태로 연결되며, 데이터는 한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전달됩니다.
- 토큰(Toke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 충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토큰링 네트워크 기준)
실무 예시
- 과거 IBM의 Token Ring 네트워크에서 사용된 구조로, 현대에는 Fiber 채널 SAN(Storage Area Network) 등 일부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 고가용성이 요구되는 특수한 산업 제어망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장점
- 데이터 충돌이 없기 때문에 트래픽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됩니다.
- 간단한 데이터 흐름 구조를 가지며 네트워크의 속도 및 성능이 예측 가능합니다.
단점
- 링 구조에서 하나의 노드라도 고장 나면 네트워크 전체가 중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단, 이중 링 구조로 극복 가능)
- 노드의 추가 및 제거가 상대적으로 까다롭습니다.
Q & A
- Q: "링 토폴로지의 주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A: 한 노드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중 링 구조나 보호 회선 사용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CS 공부일지 > 네트워크 공부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4계층, OSI 7계층, 캡슐화와 비캡슐화, PDU의 상세 개념 (0) | 2025.04.07 |
---|---|
LAN, MAN, WAN의 상세 개념 및 실무 활용과 면접 대비 설명 (0) | 2025.04.06 |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0) | 2025.04.06 |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필요성과 병목현상 (0) | 2025.04.06 |
네트워크의 핵심 개념: 네트워크, 처리량, 트래픽, 대역폭, RTT 완벽 정리 (0) | 2025.04.05 |